1. 클래스
[Dart]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클래스, 속성, 메서드, 생성자 (Class, Property, Method, Constructor)
1. 클래스 클래스는 설계도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게임을 만든다고 생각해 볼게요.먼저 캐릭터가 있어야겠죠? 캐릭터는 이름, 체력, 공격력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고, 공격한다, 점프한다
sfida.tistory.com
2. 개인 과제
콘솔 쇼핑몰
https://github.com/Meezzi/console_shopping
GitHub - Meezzi/console_shopping
Contribute to Meezzi/console_shoppi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3. 느낀 점
오전에 글을 작성하고 오후부터 개인 과제를 확인했다.
VS Code에서 과제를 진행했는데 VS Code에서 Git을 연동하고 커밋하는 건 처음이라 좀 헤맸다.
같은 이름의 Repository를 만들고 삭제하고 다시 만들고...
Git Hub Repository를 연동하고 issue, PR, branch에 관해 찾아봤다.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 기능들을 사용한 적이 있어 얼추 알고 있긴 했으나
내가 알고 있는 게 맞나 확인 겸, 내용은 어떻게 쓰는지, VS Code는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중점으로 찾아봤다.
다른 점이 있다면 Git Hub 명령어로는 git add .(변경 사항을 Stage에 올리는 명령어)를 VS Code에서는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변경된 파일들을 체크해서 Stage에 올린 후에 커밋을 진행한다.
내가 기억하기론 Android Studio에서는 이 과정이 생략되었었던 것 같은데.. 이게 좀 번거롭긴 하다.
또한, Android Studio는 코드 전체가 바뀌어도 한 줄 씩 커밋이 가능했는데 VS Code는 그런 기능은 없는 것 같다.
이것도 불편한 요소 중 하나였다.
그래도 Flutter는 VS Code를 많이 이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많이 익숙해져야겠다고 생각했다.
++ 오늘은 처음으로 질문을 했다.
나는 평소에 질문을 안하는 학생이다.
궁금한 게 생겨도 혼자 찾아보거나 아님 말고 하고 잊어버리는 그런 학생이었다.
왜 내가 질문을 안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로는 혼자 검색해서 해결하는 게 더 편하다는 점이다.
궁금한 게 생겨 바로바로 검색을 하면 잘 설명해 주는 글들이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내가 괜히 시간을 뺏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질문을 받는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을 알면서도 괜스레 그렇게 생각하게 된다.
세 번째로는 별 것도 아닌 것을 질문한다고 생각할까 봐이다.
'이런 건 검색해도 나오는데 왜 물어보는 거지?'
'이런 것도 모르나?'
라고 생각할까 봐 겁이 나 질문을 안 하게 되는 것 같다.
그러니까 내 내부의 문제인 것 같다.
나는 남을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조금은 신경쓰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튜터님이 12시간 상주해 계신다는 걸 알아도 나에게는 별 의미 없는 메리트같이 느껴졌다.
나와 상관없는 이야기였달까.. 그냥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었다.
그러다 도저히 답이 안 보이는 과제를 만났다.
Dart에 대한 자료들도 많이 있지 않아 너무 답답했다.
그렇다고 ChatGPT 같은 AI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해결해보고 싶어 끝까지 고민했다.
그래도 답이 없다고 판단되는 순간 '아 질문할까?'라는 생각이 스쳤다.
그리고 곧바로 '아니야. 그래도 좀 더 찾아보자.', '어딘가에 답이 있겠지'라고 되뇌었다.
이 고민은 밤 8시 반까지 계속되었다.
'아 질문할까.
아니야. 좀 만 더 찾아보자.
그냥 할까.
근데 좀 늦은 것 같은데.
더 늦기 전에 질문할까.
일단 질문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찾아보자.'
사실 남들이 보기에 별것도 아닌 고민 같겠지만 나에게는 꽤나 곤란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결국 끝나기 15분 전 8시 45분쯤 질문을 하러 갔다.
(사실 튜터님 퇴근 15분 전이라 민폐는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다..ㅎㅎ)
질문을 하는 동안 나는 꽤나 긴장했다.
손은 차갑고, 말은 절고, 식은땀은 났던 그런 기억이 난다.
내가 튜터님 방에 가니 튜터님은 웃으며 반겨주셨다.
튜터님은 친절했고,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진짜 진짜 좋았다!
이해는 완전히 했고, 어려웠던 점도 해결됐다!!
질문을 다 하고 내 자리로 돌아오는 동안 '아 질문하길 잘했다!'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오히려 늦게 한 것이 후회되었다.
'아 진작 질문할걸 ㅠㅠ 그랬으면 이렇게 늦게까지 구현을 다 못하진 않았을 텐데!!!!!'
오늘 내가 모르는 것에 대해 질문을 함으로써 내 안의 알이 깨진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러니까 성장한 느낌이었다!
이제는 내가 모르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고 잘 정리해서 질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것이 나를 위한 방법이라고도 생각했다.
업무에 들어가면 신입이라 모르는 것 투성이일 텐데 그때도 혼자 끙끙 앓고 해결 못하면 곤란하니까...
그래도 질문에 대한 진입장벽이 조금은 낮아진 것 같아 이제는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질문해도 되겠다고 느꼈다.
+++ 다시 생각해 보니 처음은 아니고 두 번째다.
그런데 첫 번째 질문은 모르는 것에 질문하기보다 버전 관련 오류라서 질문한 것이었다.
(예제 코드를 옛날 버전으로 주면 어떡하냐고!!!)
알고 보니 나와 같은 오류를 접한 분들이 많았다.
솔직히 첫 주차는 이런 버전 오류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다.
그리고 이것은 교육에 대한 불만까지 도달하기 전에... 다음 주차가 됐고 (늦게 합류하는 바람에 첫주차는 1일만 했다 ㅋㅋ)
다음 주차 교육은 잘 설명해 주셔서 좋았다.
아무튼 질문 있으면 후딱 하고 끝내버리는 걸로!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50317 LeetCode 27번, 예외처리 (2) | 2025.03.17 |
---|---|
[TIL] 개인과제 트러블 슈팅 (0) | 2025.03.14 |
[TIL] 250312 제네릭, 함수형 프로그래밍 (feat. Dart) (0) | 2025.03.12 |
[TIL] 250311 Collections, Enum, Function (feat. Dart) (1) | 2025.03.11 |
[TIL] 250310 데이터 타입, 연산자, 조건문 (feat. Dart) (0) | 2025.03.10 |
1. 클래스
[Dart]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클래스, 속성, 메서드, 생성자 (Class, Property, Method, Constructor)
1. 클래스 클래스는 설계도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게임을 만든다고 생각해 볼게요.먼저 캐릭터가 있어야겠죠? 캐릭터는 이름, 체력, 공격력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고, 공격한다, 점프한다
sfida.tistory.com
2. 개인 과제
콘솔 쇼핑몰
https://github.com/Meezzi/console_shopping
GitHub - Meezzi/console_shopping
Contribute to Meezzi/console_shoppi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3. 느낀 점
오전에 글을 작성하고 오후부터 개인 과제를 확인했다.
VS Code에서 과제를 진행했는데 VS Code에서 Git을 연동하고 커밋하는 건 처음이라 좀 헤맸다.
같은 이름의 Repository를 만들고 삭제하고 다시 만들고...
Git Hub Repository를 연동하고 issue, PR, branch에 관해 찾아봤다.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 기능들을 사용한 적이 있어 얼추 알고 있긴 했으나
내가 알고 있는 게 맞나 확인 겸, 내용은 어떻게 쓰는지, VS Code는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중점으로 찾아봤다.
다른 점이 있다면 Git Hub 명령어로는 git add .(변경 사항을 Stage에 올리는 명령어)를 VS Code에서는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변경된 파일들을 체크해서 Stage에 올린 후에 커밋을 진행한다.
내가 기억하기론 Android Studio에서는 이 과정이 생략되었었던 것 같은데.. 이게 좀 번거롭긴 하다.
또한, Android Studio는 코드 전체가 바뀌어도 한 줄 씩 커밋이 가능했는데 VS Code는 그런 기능은 없는 것 같다.
이것도 불편한 요소 중 하나였다.
그래도 Flutter는 VS Code를 많이 이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많이 익숙해져야겠다고 생각했다.
++ 오늘은 처음으로 질문을 했다.
나는 평소에 질문을 안하는 학생이다.
궁금한 게 생겨도 혼자 찾아보거나 아님 말고 하고 잊어버리는 그런 학생이었다.
왜 내가 질문을 안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로는 혼자 검색해서 해결하는 게 더 편하다는 점이다.
궁금한 게 생겨 바로바로 검색을 하면 잘 설명해 주는 글들이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내가 괜히 시간을 뺏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질문을 받는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을 알면서도 괜스레 그렇게 생각하게 된다.
세 번째로는 별 것도 아닌 것을 질문한다고 생각할까 봐이다.
'이런 건 검색해도 나오는데 왜 물어보는 거지?'
'이런 것도 모르나?'
라고 생각할까 봐 겁이 나 질문을 안 하게 되는 것 같다.
그러니까 내 내부의 문제인 것 같다.
나는 남을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조금은 신경쓰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튜터님이 12시간 상주해 계신다는 걸 알아도 나에게는 별 의미 없는 메리트같이 느껴졌다.
나와 상관없는 이야기였달까.. 그냥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었다.
그러다 도저히 답이 안 보이는 과제를 만났다.
Dart에 대한 자료들도 많이 있지 않아 너무 답답했다.
그렇다고 ChatGPT 같은 AI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해결해보고 싶어 끝까지 고민했다.
그래도 답이 없다고 판단되는 순간 '아 질문할까?'라는 생각이 스쳤다.
그리고 곧바로 '아니야. 그래도 좀 더 찾아보자.', '어딘가에 답이 있겠지'라고 되뇌었다.
이 고민은 밤 8시 반까지 계속되었다.
'아 질문할까.
아니야. 좀 만 더 찾아보자.
그냥 할까.
근데 좀 늦은 것 같은데.
더 늦기 전에 질문할까.
일단 질문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찾아보자.'
사실 남들이 보기에 별것도 아닌 고민 같겠지만 나에게는 꽤나 곤란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결국 끝나기 15분 전 8시 45분쯤 질문을 하러 갔다.
(사실 튜터님 퇴근 15분 전이라 민폐는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다..ㅎㅎ)
질문을 하는 동안 나는 꽤나 긴장했다.
손은 차갑고, 말은 절고, 식은땀은 났던 그런 기억이 난다.
내가 튜터님 방에 가니 튜터님은 웃으며 반겨주셨다.
튜터님은 친절했고,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진짜 진짜 좋았다!
이해는 완전히 했고, 어려웠던 점도 해결됐다!!
질문을 다 하고 내 자리로 돌아오는 동안 '아 질문하길 잘했다!'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오히려 늦게 한 것이 후회되었다.
'아 진작 질문할걸 ㅠㅠ 그랬으면 이렇게 늦게까지 구현을 다 못하진 않았을 텐데!!!!!'
오늘 내가 모르는 것에 대해 질문을 함으로써 내 안의 알이 깨진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러니까 성장한 느낌이었다!
이제는 내가 모르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고 잘 정리해서 질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것이 나를 위한 방법이라고도 생각했다.
업무에 들어가면 신입이라 모르는 것 투성이일 텐데 그때도 혼자 끙끙 앓고 해결 못하면 곤란하니까...
그래도 질문에 대한 진입장벽이 조금은 낮아진 것 같아 이제는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질문해도 되겠다고 느꼈다.
+++ 다시 생각해 보니 처음은 아니고 두 번째다.
그런데 첫 번째 질문은 모르는 것에 질문하기보다 버전 관련 오류라서 질문한 것이었다.
(예제 코드를 옛날 버전으로 주면 어떡하냐고!!!)
알고 보니 나와 같은 오류를 접한 분들이 많았다.
솔직히 첫 주차는 이런 버전 오류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다.
그리고 이것은 교육에 대한 불만까지 도달하기 전에... 다음 주차가 됐고 (늦게 합류하는 바람에 첫주차는 1일만 했다 ㅋㅋ)
다음 주차 교육은 잘 설명해 주셔서 좋았다.
아무튼 질문 있으면 후딱 하고 끝내버리는 걸로!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50317 LeetCode 27번, 예외처리 (2) | 2025.03.17 |
---|---|
[TIL] 개인과제 트러블 슈팅 (0) | 2025.03.14 |
[TIL] 250312 제네릭, 함수형 프로그래밍 (feat. Dart) (0) | 2025.03.12 |
[TIL] 250311 Collections, Enum, Function (feat. Dart) (1) | 2025.03.11 |
[TIL] 250310 데이터 타입, 연산자, 조건문 (feat. Dart)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