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1) 상태관리란?상태라는 것은 앱에서 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숫자가 1 증가하는 앱이 있다면여기서 증가하는 숫자가 상태가 되는 것이고, 로그인 기능이 있는 앱이 있으면로그인 여부(로그인/로그아웃)가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Flutter는 화면을 그릴 때 상태에 따라 위젯을 구성합니다.즉, 상태가 바뀌면 화면도 다시 그려야 하며,이런 상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식이 상태 관리입니다. 2) setState의 한계점setState()는 Flutter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가장 간단한 상태 관리 방법입니다. setState는 상태 변경과 UI 업데이트를 같은 위젯 안에서 처리하기 때문에상태와 UI 코드가 섞여 복잡해지고, 재사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
1. StatelessWidget vs StatefulWidgetFlutter에서는 UI를 직접 그리지 않는 대신 위젯들을 겹겹이 쌓아 전체 UI를 구현합니다.화면에 보이는 텍스트, 이미지, 버튼 등 모든 것이 위젯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러한 위젯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바로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입니다. 2. build()여기서 알아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바로 build()인데요.위젯이 화면을 그리는 방법을 정의하는 함수입니다. Flutter에서 모든 UI는 위젯 트리(위젯들로 이루어진 트리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build()는 그 트리를 만들어주는 설계도 역할을 합니다. 즉, build()는 버튼과 텍스트를 화면에 어떻게 배치할지를 정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