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eetCode 58. Length of Last Word
[Dart] 58. Length of Last Word
1. 문제 https://leetcode.com/problems/length-of-last-word/?envType=study-plan-v2&envId=top-interview-150 2. 요구사항1) 단어와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s가 주어진다.2) 문자열 s의 마지막 단어의 길이를 반환한다.3)
sfida.tistory.com
2. 개인 과제
1) 파일 입출력
3. 성장 일기
dart언어로 RPG 콘솔 게임을 만드는 것이 개인 과제이다.
게임 만드는 과제라 재미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까다롭고 어려웠다.
Character 객체를 어디서 만들지? 생성할 때 어떤 매개변수를 넣어야 하지?
Monster는 여러 개인데 어떻게 만들어야 하지? 객체를 생성한다면 어디에 넣어야 하지?
Character와 Monster의 스탯을 로드하는 코드는 어디로 분리해야 하지?
이런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다.
튜터님 두 분께도 이와 비슷한 질문을 했는데 놀랍게도 동일한 답이 들려왔다.
"코드에 답은 없다."
어떻게 로직을 짜야할지 모르겠는 나는 뭔가 답답한 심정도 들었다.
"이런 코드를 작성해야 해요"라고 정확히 짚어주지 않아
'이게 정답인가? 이렇게 하는 게 맞나? 내가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있나?'라고 헤맸었던 것 같다.
하지만, 튜터님들은 내 코드를 읽어보신 후,
"이런 로직을 짤 거면 이런 방법이 있어요. 하지만 저라면 저런 방법으로 작성할 것 같아요."라고 말씀해 주셨다.
사실 나는 정확한 답을 바라고 질문한 것이었는데 답이 아닌 내가 작성한 코드의 길잡이 역할을 생각해 주셨다.
덕분에 내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라고 딱 알려줬으면 '아 이렇게 작성하는구나'라고 별생각 없이 넘어갔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이런 코드를 작성했고, 이 코드로 무엇을 달성하려고 했지?'라고 내 코드를 되짚어봤다.
코드의 방향성을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하는 과정은 마치 어두운 갈래길을 지나가는 것처럼 막막한 느낌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을 통해 배우고 고민하면서 더 좋은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조가 편성된 지 일주일이 넘었지만 조원들에 대해 아는 게 없어 처음으로 자기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기소개하자고 하기 전에 말할까 말까 말할까 말까 고민했는데
그래도 서로 질문을 주고받으며 더 친해지면 좋을 것 같아서 말했다. ( ˶ー̀֊ー́ )੭
그리고 처음으로 조에서 질문을 했는데 친절히 답변해 주신 조원님도 있었다. 감사합니다...! _(._.)_
아무튼 앞으로도 편하게 소통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50321 LeetCode 풀이, 개인 과제 제출, 트러블 슈팅 (0) | 2025.03.21 |
---|---|
[TIL] RPG 콘솔 게임 트러블 슈팅 (0) | 2025.03.21 |
[TIL] 250318 LeetCode 풀이, 주석 정리, 개인 과제 (0) | 2025.03.18 |
[TIL] 250317 LeetCode 27번, 예외처리 (2) | 2025.03.17 |
[TIL] 개인과제 트러블 슈팅 (0) | 2025.03.14 |
1. LeetCode 58. Length of Last Word
[Dart] 58. Length of Last Word
1. 문제 https://leetcode.com/problems/length-of-last-word/?envType=study-plan-v2&envId=top-interview-150 2. 요구사항1) 단어와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s가 주어진다.2) 문자열 s의 마지막 단어의 길이를 반환한다.3)
sfida.tistory.com
2. 개인 과제
1) 파일 입출력
3. 성장 일기
dart언어로 RPG 콘솔 게임을 만드는 것이 개인 과제이다.
게임 만드는 과제라 재미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까다롭고 어려웠다.
Character 객체를 어디서 만들지? 생성할 때 어떤 매개변수를 넣어야 하지?
Monster는 여러 개인데 어떻게 만들어야 하지? 객체를 생성한다면 어디에 넣어야 하지?
Character와 Monster의 스탯을 로드하는 코드는 어디로 분리해야 하지?
이런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다.
튜터님 두 분께도 이와 비슷한 질문을 했는데 놀랍게도 동일한 답이 들려왔다.
"코드에 답은 없다."
어떻게 로직을 짜야할지 모르겠는 나는 뭔가 답답한 심정도 들었다.
"이런 코드를 작성해야 해요"라고 정확히 짚어주지 않아
'이게 정답인가? 이렇게 하는 게 맞나? 내가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있나?'라고 헤맸었던 것 같다.
하지만, 튜터님들은 내 코드를 읽어보신 후,
"이런 로직을 짤 거면 이런 방법이 있어요. 하지만 저라면 저런 방법으로 작성할 것 같아요."라고 말씀해 주셨다.
사실 나는 정확한 답을 바라고 질문한 것이었는데 답이 아닌 내가 작성한 코드의 길잡이 역할을 생각해 주셨다.
덕분에 내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라고 딱 알려줬으면 '아 이렇게 작성하는구나'라고 별생각 없이 넘어갔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이런 코드를 작성했고, 이 코드로 무엇을 달성하려고 했지?'라고 내 코드를 되짚어봤다.
코드의 방향성을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하는 과정은 마치 어두운 갈래길을 지나가는 것처럼 막막한 느낌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을 통해 배우고 고민하면서 더 좋은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조가 편성된 지 일주일이 넘었지만 조원들에 대해 아는 게 없어 처음으로 자기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기소개하자고 하기 전에 말할까 말까 말할까 말까 고민했는데
그래도 서로 질문을 주고받으며 더 친해지면 좋을 것 같아서 말했다. ( ˶ー̀֊ー́ )੭
그리고 처음으로 조에서 질문을 했는데 친절히 답변해 주신 조원님도 있었다. 감사합니다...! _(._.)_
아무튼 앞으로도 편하게 소통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50321 LeetCode 풀이, 개인 과제 제출, 트러블 슈팅 (0) | 2025.03.21 |
---|---|
[TIL] RPG 콘솔 게임 트러블 슈팅 (0) | 2025.03.21 |
[TIL] 250318 LeetCode 풀이, 주석 정리, 개인 과제 (0) | 2025.03.18 |
[TIL] 250317 LeetCode 27번, 예외처리 (2) | 2025.03.17 |
[TIL] 개인과제 트러블 슈팅 (0) | 2025.03.14 |